[2075] 이라크 정세보고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07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이라크 정세보고
skos:prefLabel
  • [2075] 이라크 정세보고
skos:altLabel
  • 이라크 정세보고
  • 이라크정세보고
mofadocu:index_Num
  • 243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24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089
mofadocu:openYear
  • 1998
bibo:abstract
  • 이라크의 정세에 관하여 주터키대사와 주카이로총영사가 본부에 보고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1. 이라크 신 내각 구성(1963.3.17. 주터키대사 보고)
    2. 이라크 Kurd족 정부에 자치권 주장하여 정부는 1963.7.13. 최후통첩을 함.(1963.7.14. 주 터키대사 보고)
    3. Kurd족은 이라크 총인구 650만 명 중 약 1/4을 초과하는 150만을 차지하고 있으며 본래 약 6 내지 7백만 명의 Kurd족이 터키, 이라크, 소련, 이란 국경지대에 산재하여 살고 있었으며 다른 지역의 Kurd족들은 현지 국가에 동조되었으나 이라크 북부지역에 살고 있는 Kurd족은 오랜 기간을 두고 이라크 중앙정부와 민족 투쟁을 하여 왔음. 1963.2.8. 이라크의 군부쿠데타가 발생 Kassem 정권이 무너지고 쿠데타 주모자인 Aref를 대통령으로 하는 Baath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라크의 오랜 역사적 숙제인 Kurd족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Kurd족 대표와 협상을 전개하여 왔음. 그러나, 이러한 협상기도가 실패하고 1963.9.6. 쿠르드 반란군 사령부는 쿠르드공화국 독립을 선언함.(주카이로총영사관 1963.7.5. 보고)
    4. 이라크군의 전면적인 공세에 직면한 Barzani 지휘하에 있는 Kurd군 830명이 1963.8.28. 터키동부 국경선으로부터 35킬로 지점까지 퇴각하게 됨으로써 터키군은 이들을 Yusekova에 억류 중에 있다고 함.(1963.8.30. 주터키대사 보고)
    5. 이라크 대통령 Aref는 1966.4.13. 헬리콥터로 비행 도중 급작스러운 모래폭풍을 만나자 탑승기가 추락하여 현장에서 급서하여 대통령 후임으로 Aref 대통령의 친형인 현 이라크 육군참모총장 Abdel Rahaman Mohamed Aref 소장이 선출됨.(주카이로총영사 1966.4.18. 보고)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