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9] 동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1. 전2권 잠비아-탄자니아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052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동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1. 전2권
skos:prefLabel
  • [20529] 동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1. 전2권 잠비아-탄자니아
skos:altLabel
  • 동부아프리카지역 국가 정세, 1981. 전2권
  • 동부아프리카지역국가정세,1981.전2권
mofadocu:index_Num
  • 21345
mofadocu:volumeNum
  • V.2
mofadocu:volumeName
  • 잠비아-탄자니아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4-0104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116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1981년도 동부아프리카 지역 정세에 관하여 주케냐대사관이 외무부에 보고한 내용임.
    1. 잠비아 정세
    o 1981.3.1. 모부투 자이르 대통령은 잠비아를 방문하여 양국 간의 국경문제에 대해 협의한
    바, 잠비아 측은 양 지도자가 합의하지 못할 경우 카운다 잠비아 대통령은 본건을 OAU 및
    국제사법재판소에 제기를 고려
    o 1981.6.22. 잠비아 정부는 미국인 외교관 2명에게 Persona Non Grata를 적용, 48시간 내
    출국토록 조치하고 그 외 4명의 미국 외교관도 체류 불허조치를 취했다고 하는데 이 같은
    조치는 미국 CIA가 관련된 카운다 정권 전복 음모사건과 관계가 있다고 함
    2. 지부티 정세
    o 1981.6.12.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Hassan Gouled Aptideon 현 대통령이 84.5%의 지지를
    얻어 임기 6년의 대통령에 재선됨. 이번 선거에는 Gouled 대통령이 단독 입후보하였는바,
    이는 대통령 선거법상 의회 내 25석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정당만이 후보를 낼 수 있기 때
    문
    3. 짐바브웨 정세
    o 1981.1.10. 무가베 수상은 대폭 개각을 단행한바, Muzenda 외상이 부수상으로, Mangwende
    외무차관이 외무장관으로, Mnangagwa가 국군합동 최고사령관으로 임명
    o 1981.2.18. 짐바브웨 정부는 소련과 외교관계를 수립
    4. 케냐 정세
    o 1981.12.31. 나이로비 시내 Norfolk 호텔이 원인 미상의 대폭발로 대파되어 15명의 사망자
    와 85명의 부상자가 발생
    o 케냐 경찰은 동 사건의 범인이 모로코 국적의 과격파 PFLP(Popular Front for Liberation
    of Palestine) 당원이라고 발표
    5. 탄자니아 정세
    o 1981.2.11. 케냐, 탄자니아 양국은 국경지대 가축 도축, 밀렵, 밀수에 강력 대응하기 위해
    나이로비에서 각료급 회의를 개최하고 국경지대 경비 강화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