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10] 우간다 정세, 1984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051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우간다 정세, 1984
skos:prefLabel
  • [20510] 우간다 정세, 1984
skos:altLabel
  • 우간다 정세, 1984
  • 우간다정세,1984
mofadocu:index_Num
  • 2132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inLol
  • 2014-0103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106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주우간다대사관은 1984년도 주재국 정세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외무부에 보고함.
    1. 1982.4.1.부터 주재국 정부군을 훈련시켜 온 영연방 군사훈련단이 2년간의 임무를 종료하고
    1984.3.31. 철수함에 따라 현재 북한 군사훈련 요원만이 주재하게 됨.
    o 미국, 영국 등 서방 측은 북한이 군사훈련을 독점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15명 정도의 영국
    군사고문단을 1984.7~8월경 우간다에 파견키로 합의
    2. 경제복구를 위한 우간다원조공여국회의가 1984.1.24.~25. 세계은행 주관으로 20여 공여국 및 금융기
    구가 참가한 가운데 파리에서 개최됨.
    3. 전 동부아프리카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재산 및 부채 처리를 위한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3
    국간 각료회의가 1.4. Arusha, 1.23.~25. Nairobi, 2.22.~23. Jinja에서 각각 개최되어 재산 및 부채 분
    배비율에 합의함.
    o 1984.5.14. Arusha에서 전 동부아공동체(EAC) 재산처리 협정이 우간다, 케냐 및 탄자니아
    3국 정상 간에 정식 체결
    4. Munnansi 주재국 야당 기관지는 1984.11.17. 정부가 국회와 사전 협의 없이 북한군을 불러 내전에
    이용함으로써 정치문제로 발전하고 있다고 비난함.
    o 11월 중순 약 300여 명의 북한군이 당지에 도착, 반정부 게릴라 활동에 참가
    o 11.20. 이래 캄팔라 시내 중심가와 버스 정류장 등에서 정부군 차량에 대한 폭발물 투척사
    건을 포함하여 거의 매일 폭발물 사고가 발생하여 치안상태가 나날이 악화
    5. 오보테 대통령은 12.21. 부룬디에서 개최된 제3차 동남부 아프리카국가 특혜무역지역(Preferential
    Trade Areas)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역내 국가 간 유대를 강화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