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39] 차드 정세, 1976-84. 전6권 1983.8.10-12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2043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차드 정세, 1976-84. 전6권
skos:prefLabel
  • [20439] 차드 정세, 1976-84. 전6권 1983.8.10-12월
skos:altLabel
  • 차드 정세, 1976-84. 전6권
  • 차드정세,1976-84.전6권
mofadocu:index_Num
  • 21255
mofadocu:volumeNum
  • V.5
mofadocu:volumeName
  • 1983.8.10-12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4-0098
mofadocu:inFile
  • 3
mofadocu:inFrame
  • 0001-0289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1. 외무부는 1983.8.12. 차드 사태 진전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통령에게 보고함.
    o 7.30.부터 리비아 공군은 정부군 및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 폭격을 계속하고 있으며 프랑스
    와 미국은 정부군에 대한 군사지원을 증강, 리비아의 군사개입에 강경 대처
    o 차드 내란의 국제전화가 우려되고 있으나, 리비아의 아프리카에서의 고립, 미국·프랑스의 전
    투병력 투입거부 등으로 그 가능성은 희박
    o 1965년 이래 계속되어 온 차드 내란은 외세 개입과 지원으로 정부군, 반군이 공히 결정적
    인 우세 확보가 어려워 교착상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
    2. 외무부는 1983.8월 차드 사태의 연혁, 배경 등을 아래와 같이 분석함.
    o 차드 내란은 근본적으로 남부 흑인계와 북부 아랍계의 차드 내 주도권 다툼에서 시작
    o 1983.6.7. 리비아에 망명 중이던 구쿠니 전 대통령이 리비아의 지원으로 정부군에 반격을
    가하고 현재 반군 3,000여 명, 리비아군 2,000여 명은 북부 요충인 파야-라르고를 점령하
    고 차드 국토의 1/3을 장악
    o 그러나, 양파 간 정치적 타협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
    3. 1983.8월 리비아의 차드사태 개입에 관한 외신 및 공관보고 내용은 아래와 같음.
    o 구쿠니가 이끄는 반군은 Faya-Largeau, Koro, Toro 등 북부지역 대부분을 장악, 수도 엔
    자메나에서 Salal 지역에 방위선을 구축하고 있는 정부군과 대치
    o 아브레 대통령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차드·리비아 분쟁을 다루기 위한 OAU 특별위
    원회를 소집할 것을 촉구
    o 리비아의 지원을 받고 있는 반군 지도자 구쿠니는 미국, 프랑스, 자이르 등 외군이 철수하
    기 전에는 차드분쟁에 관한 평화협상은 있을 수 없다고 언급
    o 차드사태는 현 전선에서 소강상태를 유지하면서 외교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많
    으며 차드 내 양파는 협상기간 동안 지배지역에 대한 정권 고착화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