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7] IISS 주최 동북아.태평양 지역의 안보문제 국제학술회의. 서울, 1984.12.12-15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970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IISS 주최 동북아.태평양 지역의 안보문제 국제학술회의. 서울, 1984.12.12-15
skos:prefLabel
  • [19707] IISS 주최 동북아.태평양 지역의 안보문제 국제학술회의. 서울, 1984.12.12-15
skos:altLabel
  • IISS 주최 동북아.태평양 지역의 안보문제 국제학술회의. 서울, 1984.12.12-15
  • iiss주최동북아.태평양지역의안보문제국제학술회의.서울,1984.12.12-15
mofadocu:index_Num
  • 2047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9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4-0045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059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1. 런던 소재 국제 전략문제연구소(IISS) 주최 동북아·태평양 지역의 안보문제 국제학술회의가
    1984.12.12.~15. 서울에서 개최됨.
    2. Sidney Bearman은 소련의 동아시아 정책에 대해 발표한바,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o 전통적으로 소련의 주관심사는 유럽이었으나 최근 동아시아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으며 이 지
    역에 많은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소련에 대한 안보위협이 극동지역에서 증대하고 있는
    바, 중·소 분쟁, 미·일·중간의 반소련 연합전선 구축 가능성, 일본, 중국(구 중공) 군대의 현대화
    등이 위협 요소
    o 소련은 시베리아 지역의 석탄, 철강, 원유, 천연가스 등 80% 이상을 차지하는 지하자원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바, 이를 위해 시베리아지역 내 인구유입 장려, 인프라 확충, 일본의 투자유치를 위한
    합동위 개최 등을 추진하여 왔으나 Tyumen 유전개발 문제로 진전이 없는 상황
    o 소련의 대북한 정책은 과거 15년간 늘 양면적이거나 애매하였으며 소련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경제
    적 지원규모에 비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은 중국보다 못한바, 소련은 변덕스런 북한의 리더십이 미·
    소 간 군사적 대립을 야기시키지 않을까 우려
    3. 드리프테 IISS 부소장은 요미우리 신문과의 간담회에서 유럽에서조차 신뢰조성 조치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보다 심각한 긴장상태 하에 놓여 있는 한반도에서 신뢰조성 조치는 극히
    필요하다고 언급함.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