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44] 한.미국간 소련관계 실무자 회의, 제2차. Washington, D.C., 1984.12.3-4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934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미국간 소련관계 실무자 회의, 제2차. Washington, D.C., 1984.12.3-4
skos:prefLabel
  • [19344] 한.미국간 소련관계 실무자 회의, 제2차. Washington, D.C., 1984.12.3-4
skos:altLabel
  • 한.미국간 소련관계 실무자 회의, 제2차. Washington, D.C., 1984.12.3-4
  • 한.미국간소련관계실무자회의,제2차.washington,d.c.,1984.12.3-4
mofadocu:index_Num
  • 929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3.5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4-0015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318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제2차 한·미 간 소련관계 외무부 구주국장 협의회가 1984.12.3.~4.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됨.
    1. 개최 경위
    o 1983.10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미 간 비공식 소련관계 실무자 회의에서 표제 회의를 연례화하기로
    양측 간 합의
    o 당초 김일성 방소 및 KAL기 사건 이후 한·소 관계 등 논의를 위해 1984.8월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한국 측 사정으로 연기
    2. 회의 결과
    o 1984.12.3.~4. 미국 워싱턴 국무성 소회의실 개최
    o 이복형 외무부 구주국장, 김삼훈 주미국대사관 참사관, 김승영 주미국대사관 참사관, 태석원 외무부
    담당관 등 참석
    o Palmer 미국 국무성 구주 부차관보, Simon 소련과장, Pascoe 소련과 부과장 등 참석
    o 한국 측은 KAL기 사건 이후 대소 정책, 대소 교류현황, 북한의 대내외 정세 등 설명
    o 미측 설명 요지
    - 현 단계에서 한·소 관계개선 가능성 희박 평가
    - 1984.6월 이후 비정치 분야에서 미·소 관계개선 조짐 보이기 시작
    - 미·소 간 군축회담 진전 없으나 1985년이 양국 관계 발전에 중요한 시기가 될 전망
    - 김일성 방소 이후 소련·북한 관계 강화
    - 체르넨코는 9월 이후 회복단계, 고르바초프 또는 로마노프가 후계자로 유력
    3. 참고 자료
    o 북한 동향
    o 남·북 경제회담 제1차 회의(1984.11.19. 정보문화국)
    o 제2차 한·미 간 소련 관계 실무자 회의 자료(1984.11.29. 동구과)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