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국가별 지지교섭 Ⅰ: 아주 · 미주지역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92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skos:prefLabel
  • [1923]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국가별 지지교섭 Ⅰ: 아주 · 미주지역
skos:altLabel
  •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 un(유엔)총회,제22차.newyork,1967.9.19-12.19.전3권
mofadocu:index_Num
  • 2215
mofadocu:volumeNum
  • V.2
mofadocu:volumeName
  • 국가별 지지교섭 Ⅰ: 아주 · 미주지역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H-0009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406
mofadocu:openYear
  • 1998
bibo:abstract
  • 1. 제22차 유엔총회를 앞둔 아주지역 국가별 대책은 아래와 같음.
     남북 동시초청안, 한국 단독초청안, 통일 결의안에 대한 한국입장 지지 확보
    -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호주
    ∙ 싱가포르는 3개안에 기권하겠다는 방침 고수
     중립노선에 따른 동시초청안 기권목표 설정(단독초청안, 통일결의안 지지가 전제)
    - 미얀마(구 버마), 스리랑카, 파키스탄
    ∙ 파키스탄은 유엔한국위원회(UNCURK) 잔류교섭도 병행
     친공노선에 따른 동시초청안, 단독초청안, 통일결의안 기권목표 설정
    - 네팔, 인도
    2. 제22차 유엔총회를 앞둔 미주지역 국가별 대책은 아래와 같음.
     남북 동시초청안, 한국 단독초청안, 통일 결의안에 대한 한국입장 지지 확보
    - 캐나다, 가이아나, 바베이도스, 트리니다드토바고, 도미니카, 온두라스,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브라질, 아이티,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멕시코, 니카라과, 칠레
     중립노선에 따른 동시초청안 기권목표 설정(단독초청안, 통일결의안 지지 전제)
    - 자메이카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