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기본문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92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skos:prefLabel
  • [1922]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기본문서
skos:altLabel
  • UN(유엔) 총회, 제22차. New York, 1967.9.19-12.19. 전3권
  • un(유엔)총회,제22차.newyork,1967.9.19-12.19.전3권
mofadocu:index_Num
  • 2214
mofadocu:volumeNum
  • V.1
mofadocu:volumeName
  • 기본문서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
mofadocu:inLol
  • H-0009
mofadocu:inFile
  • 3
mofadocu:inFrame
  • 0001-0159
mofadocu:openYear
  • 1998
bibo:abstract
  • 1. 외무부는 1967.9월 제22차 유엔총회 개최를 앞두고 아래와 같이 대책을 수립함.
     국제정세 관련 고려
    - 중동사태와 북한의 친아랍 정책에 따른 대책 필요성
    - 아시아・아프리카 제국에 대한 북한의 외교공세에 따른 대책 필요성
     공산권 의도 관련 고려
    - 남북한 동시초청, 유엔한국위원회(UNCURK) 철수제안 대응
     목표
    - 남북 동시초청안 부결, 한국 단독초청안 가결, 통일결의안 가결
     대책
    - 수교국 중심으로 외교경로를 통해 지지 획득
    ∙ 공동제안국 확대
    -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 중남미 지역에 특사, 친선사절단, 경제사절단 파견
    2. 총회결과, 상기 목표를 아래와 같이 달성함.
     남북 동시초청안 부결
    - 찬성 37, 반대 50, 기권 24
     한국 단독초청안 가결
    - 찬성 58, 반대 28. 기권 25
     통일결의안 가결
    - 찬성 67, 반대 23, 기권 23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7"^^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