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5] 김대중 동정, 1984. 전5권 12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911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김대중 동정, 1984. 전5권
skos:prefLabel
  • [19115] 김대중 동정, 1984. 전5권 12월
skos:altLabel
  • 김대중 동정, 1984. 전5권
  • 김대중동정,1984.전5권
mofadocu:index_Num
  • 19830
mofadocu:volumeNum
  • V.5
mofadocu:volumeName
  • 12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01
mofadocu:inLol
  • 2014-0002
mofadocu:inFile
  • 15
mofadocu:inFrame
  • 0001-0146
mofadocu:openYear
  • 2015
bibo:abstract
  • 1. 김대중 귀국 시 신변안전 관련 필요조치를 요청하는 케네디 상원의원의 대통령 앞 서한(1984.9.10.)에
    주미대사가 한국정부 입장을 설명하는 요지로 회신(10.25.)한 데 대해 케네디 의원은 김대중 씨의 미국
    내 활동이 기본권리 행사이지 정치활동이 아니라는 등 요지로 주미대사 서한의 논점을 반박하는
    11.27.자 답신을 다시 보내왔으며 동 내용을 공개함.
    2. 미 국무성 한국과장은 1984.11.30. 주미대사관 관계관을 초치, 국무성이 김대중 측근 인사로부터 김대
    중이 신변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하면서 국무성으로서는 동 내용의 진위를 알지
    못하며 통보받은 사실을 한국 정부에 알려주는 것이라고 말함.
    o 주미대사관 관계관은 한국 정부가 김대중의 신변을 위협할 아무런 이유도 없고 미국 내에서의 일이
    라면 미국 정부가 동인의 안전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며 김대중의 한국대사 면담 (1984.11.28.) 시
    전혀 언급이 없었는데 면담 후 갑자기 이러한 문제가 표면화되는 저의를 의심한다고 대응
    3. 김대중은 약 2,500명의 교포가 참석한 가운데 1984.12.2.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김대
    중 귀국 환송대회 연설에서 한국의 현 정권을 군사 독재정권이라고 하고 정국 수습을 위해 대통령과 3
    김 간의 4자회담을 제의함.
    4. 외무장관 대리는 1984.12.13. 워커 주한 미국대사를 초치하여 김대중 귀국문제 관련 정부의 입장을
    아래 요지로 통보함.
    o 김대중은 도미 치료를 위한 동인의 탄원서상의 약속에도 불구, 정치활동을 계속했고 대한민국의 헌
    정질서 자체를 부정하는 발언마저 행한 바 있어 정부로서는 단호하게 대처
    o 당초 정부는 김대중이 귀국한다면 재수감이 아니고 일반적인 활동을 허용할 방침이었으나 이러한 파
    괴적 언동에 생각을 달리하지 않을 수 없으며 김대중이 굳이 귀국한다면 부득이 즉시 재수감하 지
    않을 수 없는 상황
    5. 워싱턴 한국특파원단은 김대중 측으로부터 면담요청을 받고 개인별로 본사의 승인을 얻어 대응키로 하
    였으며 주미대사관은 면담 강력반대 입장을 전한바, 특파원단 12명 중 5명이 1984.12.16. 김대중을 면
    담 취재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