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89] Brown 각서 실천현황 보고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78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Brown 각서 실천현황 보고
skos:prefLabel
  • [18789] Brown 각서 실천현황 보고
skos:altLabel
  • Brown 각서 실천현황 보고
  • brown각서실천현황보고
mofadocu:index_Num
  • 2638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22
mofadocu:inLol
  • Re-0020
mofadocu:inFile
  • 3
mofadocu:inFrame
  • 0001-0039
mofadocu:openYear
  • 2005
mofadocu:issue
  • 월남전
bibo:abstract
  • Brown 각서의 군사면 및 경제면에서의 이행 실적은 다음과 같음.
    1. 군사면(1968.6.30. 현재)
     국군현대화
    - 장비도입 인가 370,100건 중 74% 도입, 미도입 부분 1968년 말까지 도입 완료 전망
     파월 한국군 장비 및 재정지원
    - 장비 품목 903건 중 87% 도입, 재정지원 2,369.6백만원(1966~68년)
     보충병력 장비제공 및 재정부담
    - 장비도입 인가 1,387품목 중 91% 도입, 재정지원 6,614.7백만원(1966~68년)
     대간첩 능력개선: 장비도입 인가 69품목 중 69% 도입
     조병창 확장: 미측이 건설비 약 300만달러 지원, 기타 소요 자금은 원화로 지원
     통신시설: 월남주둔 한국군 전용 무전시설 제1단계 작업 1968.7월말경 완공 예정
     C-54 항공기 4대: 도입 완료
     군복지시설: 숙소 251동 중 128동 공사 집행
     파월군 해외근무 수당: 75,244천달러 수령(1966~68년)
     사상자에 대한 보상: 5,745.4천달러 수령(1966~68년)
    2. 경제면(1968.8.31. 현재)
     국군증파에 따른 순추가 원화경비 부담: 총 10,560백만원(1966~68년)
     군원이관 중단: 1966~68년 국방예산에서 35.9백만달러 절약
     대월남 ʻʻ자연공급 품목ʼʼ 구입: 밀림화, 천막, 군용백 등
     대월남 대반도 작전용 물자 구매: 25,874천달러(1966~68년)
     대월남 민간인 진출
    - 현대건설, 대립산업 등 11개 업체가 각종 건설 공사에 진출
    - 1965~68년간 총 19,977명 인력송출
     수출 진흥을 위한 기술원조: 중소기업훈련센터 등 24개 사업 중 4개 사업 교섭 중
     개발차관
    - 차관협정 체결 16개사업(143,220천달러)중 포리에스텔공장(1,650천달러) 1968.3.20. 준공
    - 추가 요청 중기업육성 및 원양어선 건조사업 등 3개 사업을 위한 30,000천달러 차관협정 1968년 중 협정체결
     Program Loan
    - 1965~68년 1차・2차 차관협정 체결분 10,000천달러 및 12,500천달러 전액 소진, 3차 차관 협정 체결분 10,000천달러 중 1968.8월 현재까지 2,434천달러 배정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