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84] 한 · 미국 국방각료회담, 제1차. Washington, D.C., 1968.5.27-2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78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 · 미국 국방각료회담, 제1차. Washington, D.C., 1968.5.27-28
skos:prefLabel
  • [18784] 한 · 미국 국방각료회담, 제1차. Washington, D.C., 1968.5.27-28
skos:altLabel
  • 한 · 미국 국방각료회담, 제1차. Washington, D.C., 1968.5.27-28
  • 한·미국국방각료회담,제1차.washington,d.c.,1968.5.27-28
mofadocu:index_Num
  • 263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Re-0019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125
mofadocu:openYear
  • 2005
mofadocu:issue
  • 월남전
bibo:abstract
  • 1. 1968.5월 미국을 방문한 최영희 국방장관과 닛츠 국방차관 간의 회의에서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책에 관해 아래와 같은 논의가 이루어짐.
     한국측이 한국군의 대응태세를 설명
     이에 대해 닛츠 차관은 한미공동작전 필요성, 대간첩작전 목적의 정보수집과 상황판단을 위한 협조 필요성은 인정하였으나 북한이 한국의 후방에서 부대편성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에는 이의를 제기
    - 휘퍼 합참의장도 김일성의 도발 가능성 주장이 과도하다고 반론
     최영희 장관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경한 국민감정을 설명하고 정보 수집을 위한 공작원 북파 필요성에 언급
    - 미국측은 북한에 대한 보복이 아닌, 첩보수집이 목표라야 한다는 입장 표명
     한국측이 대간첩침투 대책을 설명하고 군사지원을 요청한데 대해 미국측은 그 목적을 위한 군사원조 사용에 동의
    - 미국측은 향토예비군을 통한 대책도 평가
    2. 한국측은 1억달러 추가 군사원조의 조기 이행을 요청하고 미국측은 노력을 약속함.
    3. 그밖에 한국측은 소화기 공장의 합작건설을 제의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