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52] 월남참전 7개국 외상회의, 제1차. Washington D.C., 1967.4.20-21. 전2권 기본문서집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75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월남참전 7개국 외상회의, 제1차. Washington D.C., 1967.4.20-21. 전2권
skos:prefLabel
  • [18752] 월남참전 7개국 외상회의, 제1차. Washington D.C., 1967.4.20-21. 전2권 기본문서집
skos:altLabel
  • 월남참전 7개국 외상회의, 제1차. Washington D.C., 1967.4.20-21. 전2권
  • 월남참전7개국외상회의,제1차.washingtond.c.,1967.4.20-21.전2권
mofadocu:index_Num
  • 2130
mofadocu:volumeNum
  • V.1
mofadocu:volumeName
  • 기본문서집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3.3
mofadocu:inLol
  • Re-0017
mofadocu:inFile
  • 2
mofadocu:inFrame
  • 0001-0257
mofadocu:openYear
  • 2005
mofadocu:issue
  • 월남전
bibo:abstract
  • 1. 1966.10월 마닐라에서 열린 베트남전쟁 참전국 정상회의의 후속조치로 참전국 외무장관회의가
    1967.4월 워싱턴에서 개최됨.
    2. 정부는 코만 태국 외무장관이 러스크 미국 국무장관과 협의하여 추진한 참전국 외무장관 회의가
    ASPAC의 존재감을 퇴색시킬 가능성과 회의 목적이 베트남전쟁의 평화적 해결방안 논의라는 점 때
    문에 우려함.
    3. 한국 대표로 참석한 김영주 외무차관은 회의에 앞서 러스크 장관을 예방하고 박 대통령의 메시지라
    는 전제하에 아래와 같은 입장을 전했고 러스크 장관도 공감을 표명함.
     남부베트남에 합헌정부가 수립된 것을 계기로 북부베트남을 군사적으로 압박해야 함.
     따라서 평화협상을 너무 진지하게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선휴전, 후협상”은 공산세력에게 역이용 당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함.
    4. 김영주 차관은 회의에서도 위의 취지를 충실하게 반영함.
    5. 회의는 아래 요지의 공동성명을 채택함.
     베트남 지원을 위한 참전 7개국의 공동보조 강화
     평화적 해결 노력의 계속
     참전국의 분쟁해결 과정 참여
     7개국 대표 협의체 설치 검토
mofadocu:relatedCity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