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87] 일본 동조궁(東照宮) 사찰내의 종 및 회전동통의 역사적 유래에 관한 보고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38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일본 동조궁(東照宮) 사찰내의 종 및 회전동통의 역사적 유래에 관한 보고서
skos:prefLabel
  • [18387] 일본 동조궁(東照宮) 사찰내의 종 및 회전동통의 역사적 유래에 관한 보고서
skos:altLabel
  • 일본 동조궁(東照宮) 사찰내의 종 및 회전동통의 역사적 유래에 관한 보고서
  • 일본동조궁(東照宮)사찰내의종및회전동통의역사적유래에관한보고서
mofadocu:index_Num
  • 170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03
mofadocu:inLol
  • B3-1/1(fiche)
mofadocu:inFrame
  • 0001-0051
mofadocu:openYear
  • 1998
bibo:abstract
  • 1. 주일대사관은 에도막부의 창시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위한 사당인 닛코(日光) 소재 토오쇼오구(東照
    宮) 사무소가 경내 시설물의 전래경위를 설명하기 위해 보내온 아래 내용의 통지서를 본부에 보고함.
     경내의 홍종(洪鐘)은 3대 장군 이에미츠(家光)를 알현한 조선통신사가 토오쇼오구를 방문한 소
    감을 귀국 후 인조에게 보고하고 이것을 들은 인조가 지시하여 만들어 나중에 일본을 찾은 조
    선통신사가 봉납하였음.
     그러나 회전식 동등통(銅燈熥)은 처음 팻말에 적혔던 것처럼 조선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네덜
    란드인들이 봉납한 것임.
     (사무소측은 조선통신사의 방일기록 등을 첨부)
    2. 주일대사관은 상기 보고서에서 토오쇼오구측의 설명에 어떻게 대응할지와 팻말의 내용에 관해서도
    주문을 할 것인지 여부를 본부에 문의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