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43] 에티오피아 정세, 1983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14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에티오피아 정세, 1983
skos:prefLabel
  • [18143] 에티오피아 정세, 1983
skos:altLabel
  • 에티오피아 정세, 1983
  • 에티오피아정세,1983
mofadocu:index_Num
  • 1950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3-0114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047
mofadocu:openYear
  • 2014
bibo:abstract
  • 에티오피아의 1983년 국내 및 대외관계에 관한 공관보고서 및 각종 자료, 외신보도 등인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개각
     내용: 4.18. 및 23일 2차에 걸친 개각을 통하여 장관 11명, 차관 3명 경질 단행
     배경: 군사정부로부터 일당 독재정부로의 개편에 대비, 군사위 구성원의 실권 장악과 ʻ멩기스투ʼ 의장의 지위강화 도모
     정책전망: 대외정책 및 대 한국 관계 큰 변화없을 것으로 전망되나 신임 외상의 경우 북한측과의 접촉이 많았던 점에 유의할 필요
    2. 내전문제
     ʻ에리트리아ʼ 문제
    - 2차 대전 이후 열강에 의해 민족, 문화, 종교, 언어의 상이성에도 불구, 에티오피아에 1개 주로 병합
    - 현재까지 해방운동단체에 의한 분리 독립 운동 지속. 특히 1977~78년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간의 ʻ오가덴ʼ 전쟁 중에는 해방운동단체들이 ʻ에리트리아ʼ 지역 약 90% 점령
    - 해방운동단체간의 알력으로 인한 협상상대 선정의 곤란 및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양측의 상호불신으로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 하고 양측 간에 간헐적 전투 지속 중
     ʻ티그리ʼ 문제
    - 1975년 ʻ티그리 인민해방 전선ʼ이 결성된 이래 ʻ서부 소말리아 해방전선ʼ 등과 제휴하여 반정부 분리 독립항쟁 지속
    - 정부군의 토벌노력 지속되고 있으나 장기 게릴라전에 대한 염증, 대우불만 등으로 인한 사기저하 및 이탈로 어려움 직면
    
     오가덴 문제
    - 오가덴 지역주민은 소말리아 계통이나 19세기 말 영국에 의해 에티오피아에 병합
    - 1960년 소말리아 독립과 함께 소말리아측의 동 지역에 대한 영토권 주장으로 국제분쟁화
    - 1977~78년 오가덴 전쟁 이후에도 소말리아 및 그 배후 지원을 받는 ʻ서부 소말리아 해방전선ʼ은 무력항쟁 지속 및 1983년 에티오피아측의 공세적 입장
    3. 미국 의회 사절단 방문(7.21.~25.)
     Howard E. Wolpe 의원 등 12명
     대 에티오피아 인도적 원조 증액 가능성 타진
     양국 관계개선 전망은 불투명
     약 10만달러 상당의 국유화된 미국 재산문제 협의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