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24]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 협상 회의, 제1차. Geneva, 1983.5.2-6 및 5.1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802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 협상 회의, 제1차. Geneva, 1983.5.2-6 및 5.11
skos:prefLabel
  • [18024]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 협상 회의, 제1차. Geneva, 1983.5.2-6 및 5.11
skos:altLabel
  •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 협상 회의, 제1차. Geneva, 1983.5.2-6 및 5.11
  •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협상회의,제1차.geneva,1983.5.2-6및5.11
mofadocu:index_Num
  • 1939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classfication
  • 764.96
mofadocu:inLol
  • 2013-0104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135
mofadocu:openYear
  • 2014
bibo:abstract
  • UNCTAD/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 제1차 회의 문서 및 우리나라 대표의 회의참가결과에 관한 내용임.
    1. UNCTAD(유엔무역개발회의)는 제1차 GSTP(개도국간특혜무역제도)협상 참가를 희망하는 국가는 UNCTAD사무국에 참가의사를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함.
     GSTP: Global System of Trade Preferences (among Developing Countries)
    2. 우리정부는 GSTP회의가 개도국간 상호 관세인하 및 비관세장벽 완화를 통해 개도국의 무역・생산 및 고용을 증진시킬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대표단을 참석시키기로 함.
     대표: 주제네바대표부 강신성 참사관, 재무부 관세협력과 이주형 사무관
     참가목적
    - GSTP 대상품목에 제조품 원료, 가공상품 및 농산품이 포함되나 개도국의 관심사항에 비추어 주요 대상품목은 1차 산품이 될 것이므로, 우리나라와 개도국간 관계강화로 인한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 기대
    - 관세 및 비관세장벽이 가공단계별로 누증되고 있으나, GSTP실시가 우리나라 가공제품 및 제조품 수출장애 제거에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 비교우위상품의 대개도국 수출확대를 위하여 적극 참여 필요
    3. 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
     UNCTAD회원국 86개국 중 36개국 참석
     회의의 주제는 GSTP협상을 위한 UNCTAD사무국의 지원문제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UNCTAD에 건의키로 결정
    - GSTP1단계 협상은 1984년 및 1985년 중 본격적으로 이행하여 1985년까지 종결
    - UNCTAD사무국에 구체적 지원사항 요청(참가국의 양허품목 요구 및 양허품목표의 작성지원 등)
    
    4. 주요 자료
     Draft Rules of Safeguards for the GSTP
     Draft Rules of Origin for the GSTP
     The Establishment of Mechanism for the Bilateral/Plurilateral/Multilateral negotiations referred to in para 8(a) of the Declaration on the GSTP
     Draft Report of the Meeting enabling the Developing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Negotiations on GSTP inter alia to define the Nature, Scope and Extent of the Support requested from UNCTAD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