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28] UN 해양법 협약 채택(82.4.30)에 따른 국내 후속조치, 1982-83. 전4권 한국의 UN 해양법협약 서명, 1983.3.14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772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 해양법 협약 채택(82.4.30)에 따른 국내 후속조치, 1982-83. 전4권
skos:prefLabel
  • [17728] UN 해양법 협약 채택(82.4.30)에 따른 국내 후속조치, 1982-83. 전4권 한국의 UN 해양법협약 서명, 1983.3.14
skos:altLabel
  • UN 해양법 협약 채택(82.4.30)에 따른 국내 후속조치, 1982-83. 전4권
  • un해양법협약채택(82.4.30)에따른국내후속조치,1982-83.전4권
mofadocu:index_Num
  • 19094
mofadocu:volumeNum
  • V.4
mofadocu:volumeName
  • 한국의 UN 해양법협약 서명, 1983.3.1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2.7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3-0083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116
mofadocu:openYear
  • 2014
bibo:abstract
  • 당초 1982.12.10. 서명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측의 요청에 따라 서명 연기된 해양법협약 서명관련 내용임(대통령 앞 보고).
    1. 협약의 특징
     유엔 헌장 이래 가장 방대한 국제조약
     유엔(157국)보다 더 큰 국제회의(167개국 참가)
    2. 서명현황
     서명국: 1983.2.28. 현재 122국 서명
     서명 보류국
    - 미국, 영국, 서독, 벨기에 등 일부 서구선진국(심해저개발에 있어서 생산제한, 기술이전문제로 이견)
    - 이스라엘, 터키, 베네수엘라 등 일부 국가는 서명에 반대(경계획정문제, PLO 참가를 이유로 협약채택에 반대)
    3. 한국의 서명 필요성
     협약을 통한 신 국제경제 질서 수립을 원하는 77그룹의 입장배려(유대강화)
     심해저개발 준비위원회에 정회원 참가자격 획득(심해저개발참여 기반 조성)
    4. 한국의 서명
     1983.3.14. 김경원 주유엔대사는 ʻ유엔해양법협약ʼ에 서명함. 이로써 한국은 123번째 서명국이 됨(서명장면 사진 첨부).
mofadocu:relatedCity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