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67]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CTC(UN 다국적기업위원회) 특별경제지대 워크숍. 신천, 광주(중공) 1983.11.7-1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746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CTC(UN 다국적기업위원회) 특별경제지대 워크숍. 신천, 광주(중공) 1983.11.7-18
skos:prefLabel
  • [17467]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CTC(UN 다국적기업위원회) 특별경제지대 워크숍. 신천, 광주(중공) 1983.11.7-18
skos:altLabel
  •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CTC(UN 다국적기업위원회) 특별경제지대 워크숍. 신천, 광주(중공) 1983.11.7-18
  •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ctc(un다국적기업위원회)특별경제지대워크숍.신천,광주(중공)1983.11.7-18
mofadocu:index_Num
  • 1883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classfication
  • 732.17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3-0061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164
mofadocu:openYear
  • 2014
bibo:abstract
  • 우리나라는 중국(구 중공)에서 개최되는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특별경제지대 워크숍에 참가코자 했으나 중국측의 반대로 초청대상에서 제외됨. 그러나 동 워크숍이 유엔기구 자금을 사용하는 점에 착안하여 ESCAP 회원국 자격으로 ESCAP 및 UNDP를 통해 참가교섭을 전개한 결과 중국은 우리 대표의 참석에 동의함. 본 문서철은 ESCAP 및 UNDP를 통한 교섭과정, 대표단 파견, 주요 의제 및 배경문서, 결과보고 등에 관한 내용임.
    1. 워크숍 명칭: Asia/Pacific Workshop on Special Economic Zones
    2. 회의 기간 및 장소: 1983.11.7.~18. Szenchen, Guangzhou, China
     1983.9.7. ESCAP 사무총장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11개국에 초청장 발송
     우리측은 동 워크숍이 UN 관련 기구의 자금으로 개최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춰 주 태국 대사관 등을 통해 다각적인 교섭을 전개
    3. 핵심의제
     The role of TNCs in Manufactured Exports from developing countries
     Rationales for and trends in the establishment for export processing zones(EPZ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Country Presentations by participants
     Host country experiences with EPZs 등 6개 항목
    4. 대표단 파견: 김종남 상공부 산업정책관, 김경우 재무부 외자정책과장 등 2명
    
    5. 워크숍 참가 보고(대표단의 느낌)
     한국 대표에 대한 중국의 태도
    - 타 참가대표와 동등히 정중하게 대우
    - 한국 대표 참가 사실의 외부노출을 꺼림
    - 한국의 마산, 이리 수출자유지역에 대해 깊은 관심
    - 한국 고위관리 참석 및 자유지역 경험 설명에 사의 표명
     일반적인 인상
    - 문화혁명의 실패자인, 개방정책 촉구
    - 최근 개인영업 허용, 소규모 식당, 가계 등 성행
    - 소비재, 노임 등 저렴, 전자제품은 고가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