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53] 김대중 동정, 1983. 전5권 5-6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675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김대중 동정, 1983. 전5권
skos:prefLabel
  • [16753] 김대중 동정, 1983. 전5권 5-6월
skos:altLabel
  • 김대중 동정, 1983. 전5권
  • 김대중동정,1983.전5권
mofadocu:index_Num
  • 18119
mofadocu:volumeNum
  • V.4
mofadocu:volumeName
  • 5-6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0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13-0002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310
mofadocu:openYear
  • 2014
bibo:abstract
  • 1. 1983.5~6월 미국지역 주재공관들은 미국에 체류 중인 김대중 전 대통령 후보의 동정을 아래와 같이 외무부에 보고함.
     4.29. 워싱턴대에서 강연(주시애틀)
    - 한국의 민주화를 위한 미국언론의 지원에 대한 기대 표명
     5.13.~14. 버클리대 강연(주샌프란시스코)
     5.22. 워싱턴에서 개최된 ʻʻ광주사태ʼʼ 3주년 기념식 참석(주미국)
     5.27. NBC-TV가 인터뷰 방영(주시카고)
     6.10.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연차회의에서 연설(주뉴욕)
     6.13. 글라이스틴 전 주한 미국대사와 오찬
    2. 같은 기간 1973년의 납치사건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음.
     5.12. 일본 언론은 김대중 전 대통령 후보가 사정청취에 응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자신의 방일과 현장검증을 요구하였으나 일본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 분명하여 사실상 사정청취를 거부한 것이라고 보도함.
     5.12. 일본 외무성은 주일본대사관에 김대중 후보가 일본정부가 자신에게 사죄하지 않았으며 진상규명 요구에도 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사정청취 요청에 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미국정부에 전했다고 알려옴.
     5.12. 고토다 관방장관은 사정청취를 단념하겠다는 뜻을 밝힘.
     5.13. 미국정부도 주미국대사관에 김대중 전 후보의 반응을 알림.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8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