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3] 북한사절단 중동 및 아프리카 순방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65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사절단 중동 및 아프리카 순방
skos:prefLabel
  • [1653] 북한사절단 중동 및 아프리카 순방
skos:altLabel
  • 북한사절단 중동 및 아프리카 순방
  • 북한사절단중동및아프리카순방
mofadocu:index_Num
  • 185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5.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D-0004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014
mofadocu:openYear
  • 1997
bibo:abstract
  • 1. 주코트디부아르(구 아이보리코스트)대사는 콩고(브라자빌)의 1966.8.15. 독립기념일 경축식에 참석한
    북한 사절단이 귀로에 말리, 알제리, 이집트 등의 경유가 관측되고 있으나 동태에 관하여 아직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북한의 Conseil de Lentente 국가(베넹,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에
    대한 접근 방지를 요청하기 위하여 아비장 주재 미국대사 및 대만(구 자유중국) 등 우방국 대사를 방
    문하고 협조를 구하였다고 1966.8.30. 외무부에 보고함.
     미국대사관측은 현재 북한이 Conseil de Lentente 국가에 접근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코트디
    부아르도 솔선해서 북한의 접근을 허용하는 조치는 취하지 아니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
    들 국가가 동구 공산국가와의 국교는 비동맹정책에 따라 받아들이고 있으면서도 중국(구 중공)
    및 북한과 월맹은 철저히 불신하고 있다고 분석함.
    2. 주코트디부아르대사는 1966.6월 주말리 북한대사가 니제르 정부에 대하여 북한 사절단의 입국허가
    를 신청하였으나 회답을 받지 못했으며, 부르키나파소에 대하여도 북한이 방문을 신청하였으나 다음
    시기로 연기할 것을 제의하면서 일단 북한의 방문을 거절하였다고 9.1. 외무부에 보고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