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0] 신정부 승인 - 에콰도르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61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신정부 승인 - 에콰도르
skos:prefLabel
  • [1610] 신정부 승인 - 에콰도르
skos:altLabel
  • 신정부 승인 - 에콰도르
  • 신정부승인-에콰도르
mofadocu:index_Num
  • 180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5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16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019
mofadocu:openYear
  • 1997
bibo:abstract
  • 1. 에콰도르의 외무차관은 1966.3.31자 우리나라의 에콰도르 겸임대사인 주브라질대사 앞 서한으로 에
    콰도르 국민의 의사에 따라 Don Clemente Yerovi Indaburu가 1966.3.30자로 임시 대통령 직을 수행하
    게 되었다고 통보하였으며, 또한 1966.4.5자 서한으로 새로운 외무장관에 Don Jorge Salvador가 임명
    되었다고 통보함.
    2. 주브라질대사는 1966.4.22자 본부 보고를 통하여 에콰도르의 군사정부의 실각 경위 및 신정권을 승인
    한 국가명과 우리나라의 신정권 승인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는데 에콰도르의 과도정부가 약 6개월
    후, 빠르면 7월경에 민정 이양을 위한 선거를 실시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함. 동 보고는 신정권이 군부
    의 양해하에 설치된 과도 정권이며 중도적인 노선을 취하고 있음에 비추어 우리나라가 신정권을 승인
    해도 무방할 것이나 적극적인 승인까지는 불필요하며 에콰도르의 외무차관이 보내온 서한에 적절히
    회답하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함.
    3. 주브라질대사는 1966.5.5자 에콰도르 외무차관 앞 회신을 통하여 한국 정부는 에콰도르 신정권과 우
    호관계를 지속할 것이며 신정권이 한국과 에콰도르 간의 기존의 우호관계를 더욱 증진시킬 것을 기대
    한다고 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6"^^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