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1] COMECON(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 설립협정, 194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491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COMECON(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 설립협정, 1949.1
skos:prefLabel
  • [1491] COMECON(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 설립협정, 1949.1
skos:altLabel
  • COMECON(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 설립협정, 1949.1
  • comecon(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설립협정,1949.1
mofadocu:index_Num
  • 167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4.76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M-0006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039
mofadocu:openYear
  • 1996
bibo:abstract
  • 동구권상호경제원조회의(COMECON) 설립협정 관련 요약문건(불어)과 동 협정 문건(1959년
    도 수정문: 영문 사본)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요약문건(벨기에 대외통상부 정무국 작성)
     표제회의 회원국 구성 및 협정문 변천사(연혁)에 관한 실무의견
    - 1차 시기: 1949~1954년도(1949.1월 소련, 불가리아, 체코, 헝가리, 폴란드 및 루마니아 등
    6개국의 창립회원국 및 알바니아 가입 등)
    - 2차 시기: 1954~1963년도(59년도 협정문 수정과 몽골의 가입 등)
    - 3차 시기: 1963~1968년도(비교적 조용한 기간)
    - 4차 시기: 1969년 이후(체코의 소위 ‘프라하의 봄’사건 이후 소련은 블록 내 경제체제 강화를 위
    해 표제회의 활용 등)
     표제회의 기구(조직): 상설 사무국 및 상설 위원회 설치 등
     표제회의 협정(문) 수정 및 결어: 소련의 지위 및 권한 강화 등을 위한 협정문 내 관련 조항 수정
    2. 협정문(1959년도 수정본: 영문 사본)
     알바니아, 불가리아, 체코, 헝가리, 독일, 폴란드, 루마니아, 소련 등 8개국의 COMECON 설립 목적
    및 원칙, 회원 가입 등 17개 조항으로 구성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4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