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3] 미국의 추가원조 및 제2차 잉여농산물(PL480) 지원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15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의 추가원조 및 제2차 잉여농산물(PL480) 지원
skos:prefLabel
  • [1153] 미국의 추가원조 및 제2차 잉여농산물(PL480) 지원
skos:altLabel
  • 미국의 추가원조 및 제2차 잉여농산물(PL480) 지원
  • 미국의추가원조및제2차잉여농산물(pl480)지원
mofadocu:index_Num
  • 128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1.5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M-0002
mofadocu:inFile
  • 16
mofadocu:inFrame
  • 0001-0182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1. 주미대사는 1963.4.11. 외무부에 미국의 SA 및 PL480 추가 원조 획득 교섭을 위해 1963년 SA 자금의
    최근 소화 상황, 1964년도 원조 요청에 관한 미측과의 교섭진행 등에 관한 자료를 긴급 송부해 줄 것을
    요청함.
    2. 경제기획원은 1963.4.20. 주미대사관 송부를 위해 외무부에 보내온 자료에서, 1963년도 SA자금 75백
    만불은 5월말까지 비료 구입 22백만불, 민수 원자재 32백만불 등에 이미 전액 배정, 소화될 예정이나
    배정 공고 중에 있는 사업에 대한 추가원조 25백만불이 하반기에 계속 필요한 실정이며, 1964년도 원
    조요청에 관하여는 AID 및 USOM 측과 계속 협의 중이라고 설명함.
    3. 외무부는 1964.5.20. 주미대사에게 미국 정부와 잉여농산물 및 추가 경제원조를 신속히 얻도록 교섭
    할 것을 지시함. 또한 외무부는 5.27. 주미대사에게 러스크 미 국무장관을 만나는 기회에 추가원조문
    제를 빨리 결정하여 줄 것을 교섭토록 지시함.
    4. AID측은 5.30. 미국 정부가 SA 15백만불, PL480 19.6백만불의 추가원조를 공여키로 결정했음을 확인함.
    5. 외무부는 상공부의 요청에 의거, PL480에 의한 우지구매가 미측 Meridian Petroleum Co.의 공급량
    부족으로 인하여 소정 인도기일인 10.31. 내에 전량 선적을 필하지 못함에 따라 당초 계획량 확보에
    차질이 초래되었으므로 1964.12.31.까지 계획량 전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미 농무성 측과 공급기간
    연장을 교섭하도록 196412.7. 지시함.
     미측은 12.17. 우리측이 요청하는 우지공급량 부족분은 전량 8,000톤 중 약100톤으로 전체 액수
    의 1.2%에 불과하므로 이를 확보하기 위한 수속을 밟는 것은 피차간에 경제적이 못 된다는 이
    유를 들어 동 건의 종결을 권고함.
    6. 경제기획원은 PL480에 의한 미곡 수송이 미국적 선박의 배선 확보가 어렵고 부두노동자들의 파업 전
    에 수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미국선박과 비미국선박을 50 대 50의 비율로 할 수 있도
    록 조치해 줄 것을 1964.12.8. 외무부에 요청함.
     12.29. 주미대사 보고에 의하면, 미측 선박회사는 선체고장 수리로 소정기일 내 수송은 어려우
    나 타선을 대신 조치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