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63] 모리타니 정세, 197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116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모리타니 정세, 1978
skos:prefLabel
  • [11163] 모리타니 정세, 1978
skos:altLabel
  • 모리타니 정세, 1978
  • 모리타니정세,1978
mofadocu:index_Num
  • 1241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08-0075
mofadocu:inFile
  • 08
mofadocu:inFrame
  • 0001-0156
mofadocu:openYear
  • 2009
bibo:abstract
  • 1978년 중 모니타니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여당 특별전당대회 대통령 개회 성명 요지
     • 사하라 분쟁에 대하여 알제리 침략에 대처하는 확고한 투쟁의사 재확인 및 모로코와 프랑스 원조에 감사
     • 행정기구의 효율화 및 경제 개방을 목적으로 대폭적인 기구 축소 및 정책 변경 단행, 전쟁 수행에 따른 경제 및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 부처를 통합 및 축소
      - 1978.1.27. 발표된 개각에서 17명의 각료가 13명으로 축소
    
    2. 군부 쿠데타 발생(1978.7.10.)
     • Salek 모리타니군 참모총장이 무혈 쿠데타를 주도하여 국가재건위원회를 구성하고 국회 해산, 국민당 해체, 헌법 정지, 전 각료 연금 등 조치
     • 쿠데타 동기(외신 종합)
      -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쿠란상의 전통법 시행 강화 조치가 국민, 특히 청년층의 반발 야기
      - 울드다다 모리타니 대통령이 20여 명의 장교를 직위 해제
      - 정부가 폴리사리오와의 전쟁에서 잘 대처하지 못하고 부정부패하여 국민들의 반발 야기 
     • 국가별 반응
      - 모로코: 신정부 지지 의사 표명
      - 세네갈: 쿠데타를 기정사실로 인정
      - 알제리: 신정부의 평화 노력 여부 관망
      - 폴리사리오: 신정부에 대한 우호 표시로 일방적인 게릴라전 잠정 중단
    
    3. 신정부 구성(1978.7월)
     • 18명의 국가재건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으로 Salek 중령 취임
      - 민주제도가 확립될 때까지 국가 통치기구로 기능
      - 경찰총감 외에는 17명이 군 장교
     • Salek 위원장은 16명 각료로 정부를 구성하고 행정부 수반을 담당함. 
      - 외무·법무종교·재무통상·기획광산·농촌개발·교육·문화공보·보건 등 8개 성에는 민간인 기용, 행정수반·내무·건설·수송체신·공업수산·청년체육상·경찰·국방위원회 등 8개 성은 군부에 위임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