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5] 광주(廣州, 중공) 교역회 동향, 197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111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광주(廣州, 중공) 교역회 동향, 1978
skos:prefLabel
  • [11115] 광주(廣州, 중공) 교역회 동향, 1978
skos:altLabel
  • 광주(廣州, 중공) 교역회 동향, 1978
  • 광주(廣州,중공)교역회동향,1978
mofadocu:index_Num
  • 1236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5.9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08-0073
mofadocu:inFile
  • 03
mofadocu:inFrame
  • 0001-0038
mofadocu:openYear
  • 2009
bibo:abstract
  • 1. 제43차 중국(구 중공) 광둥 교역전(1978.4.5.~5.15.)
     • 전시품목 및 전시실태: 직물류, 수예품, 토산품, 기계, 기구류 등 약 4만 종을 10개 전시관에 분산 전시
     • 외국 상사 참가 현황
      - 일본, 미국(70개 상사), 영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 외국인 참가 인원: 약 2만 명
     • 평가
      - 거액 거래는 베이징 및 상하이에서 하고 있는 추세
      - 최근 중국의 컴퓨터, 양수기, 무전기 등 각종 기계류를 전시했으나 전시단계로 분석되며, 중공업, 중화학제품 양산은 수 년(3년) 후에야 가능할 것으로 추측
      - 최근 중국의 정치적 안정으로 정치선전에서 경제·세일즈 위주로 전환 분위기
      - 동 교역전에 대한 중국의 태도가 적극적임.
    
    2. 제44차 중국 광둥 교역전(1978.10.15.~11.15.)
     • 참가 인원: 약 4만 명
     • 교역량: 약 180억 달러
     • 특징: 중국이 대외적으로 민감하게 적응한 경향 표출
      - 중국은 이번 교역전에 생산공장의 책임자를 입회시켜 외국 바이어의 주문에 응하게 하고, 서방 측 바이어의 기호(색깔, 디자인 등)와 코멘트를 받도록 함.
      - 카페트, 공예품 등은 외국 바이어에게 위탁판매하고 팔리지 않는 것은 추후 되돌려 받음.
      - 중국은 탈정치화, 순수 거래 경향을 보임.
mofadocu:relatedCity
mofa:yearOfData
  • "197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