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06] 한·이집트 해운상 문제점, 1977-78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110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이집트 해운상 문제점, 1977-78
skos:prefLabel
  • [11106] 한·이집트 해운상 문제점, 1977-78
skos:altLabel
  • 한·이집트 해운상 문제점, 1977-78
  • 한·이집트해운상문제점,1977-78
mofadocu:index_Num
  • 1235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5.8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08-0072
mofadocu:inFile
  • 25
mofadocu:inFrame
  • 0001-0011
mofadocu:openYear
  • 2009
bibo:abstract
  • 1. 한·이집트 해운무역 문제점 및 건의사항(1977.12.13., 통상3과)
     • 대이집트 수출 증진의 최대 장애요소인 높은 운송료로 인한 경쟁력 약화
     • 운송료 절감을 위한 방안
      - 한국 수출상사의 Conference Ship 적극적인 이용   
      - 수출상사는 목적지를 수에즈항으로 정하여 수에즈운하 통과에 따른 비용(톤당 2달러) 및 포트사이드 및 알렉산드리아를 피함으로써 Congestion Surcharge(톤당 통상운임의 12%)를 절감
      - 한국 해운업체(울산해운 등)의 대중동 정기노선을 젯다항에서 연장, Ro-ro선으로 포트사이드, 아카바, 포트수단행 화물을 환적, 운송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2. 대이집트 수출 촉진을 위한 한·이집트 해운무역의 문제점 검토(1978.3.10., 해운항만청)
     • 현재 이집트로 수출되는 한국 상품은 수입 상대국 또는 수입 상대 상사의 요청에 의하여 알렉산드리아 및 포트사이드까지 운송되고 있음.
      - 현재 젯다항까지 운항하고 있는 국적선의 항로를 수에즈항까지 연장하는 문제는 수입국 상사의 상품 도착지가 수에즈항으로 변경되고 대이집트 수출품 창구가 전량 일원화되므로, 선적화물이 정기적으로 확보된 후 운항 채산을 검토하여 동 항로 연장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수입 상대 상사의 상품 도착지를 수에즈항으로 하는 동시에 이집트 등 중동지역 수출상품의 집화 창구 일원화가 선행되도록 상공부에 협조를 요청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