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43] UN(유엔) 총회, 제33차. New York, 1978.9.19-12.21. 전6권 기조연설 중 한국문제 발언내용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1064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유엔) 총회, 제33차. New York, 1978.9.19-12.21. 전6권
skos:prefLabel
  • [10643] UN(유엔) 총회, 제33차. New York, 1978.9.19-12.21. 전6권 기조연설 중 한국문제 발언내용
skos:altLabel
  • UN(유엔) 총회, 제33차. New York, 1978.9.19-12.21. 전6권
  • un(유엔)총회,제33차.newyork,1978.9.19-12.21.전6권
mofadocu:index_Num
  • 11834
mofadocu:volumeNum
  • V.3
mofadocu:volumeName
  • 기조연설 중 한국문제 발언내용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08-0035
mofadocu:inFile
  • 16
mofadocu:inFrame
  • 0001-0288
mofadocu:openYear
  • 2009
bibo:abstract
  • 1. 제33차 유엔총회 각국대표 기조연설 중 한국 관계 언급 분석(1978.10월, 국제기구국)
     • 국가별 분석
      - 제32차 총회 시 한국문제를 언급한 국가가 회원국 총 149개국 중 44개국이었으나 제33차 총회 시는 총 150개국 중 41개국으로 3개국이 감소됨. 이는 토의 지양 3년째인 금차 총회에서 한국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 저하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됨.
     • 내용별 분석
      - 제32차 총회 시 북한 입장 지지 발언국은 35개국이었으나, 제33차 총회 시 북한 입장 지지 발언국은 27개국으로 8개국이 감소, 지지 불명료 6개국을 북한 지지국으로 편입하더라도 2개국이 감소된 것으로 분석됨.
      - 한국 입장 지지 발언국은 제32차 총회 시와 같은 5개국인바, 제32차 총회 시 발언한 칠레, 뉴질랜드 대신 제33차 총회에서는 가봉과 그레나다가 발언함.
    
    2. 제33차 총회 기조연설에서의 한국문제 언급 분석(1978.10.18., 주유엔대표부)
     • 전반적 분석
     • 발언 내용별로 본 태도 분석
      - 한국 입장 지지국: 4개국
      - 북한 입장 지지국: 28개국
      - 중립 입장 표명: 10개국
     • 발언 내용 분석
     • 태도 변화 국가 분석
     • 평가
      - 금번 총회에서 한국문제 언급 국가 수는 총 42개국으로 작년 총회의 44개국에 비하여 2개국이 줄었는바, 이는 제31차 유엔총회 이래 한국문제가 계속 토의 지양되어 온 데에서 기인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